제야의 종
새해 카운트다운과 함께 보신각에서 종을 울리는 제야의 종 문화, 굉장히 오래된 전통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은 1953년에 시작된 풍습이라고 합니다.
◆제야의 종, 원래는 일본 문화?
제야의 종에는 아픈 역사가 숨어있습니다. 원래 일본에서 비롯된 문화로,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 들어왔습니다.
제야(除夜)는 일 년의 마지막 날 밤이라는 뜻입니다.
일본의 사찰에서는 12월 31일 밤부터 1월 1일 새벽까지 총 108번의 종을 울렸다고 합니다.
한 해 동안 쌓인 괴로움을 씻어내고, 맑은 마음으로 새해를 시작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도 원래부터 대중적인 문화는 아니었다고 합니다.
1920년대 한 방송국에서 연말 기념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오래된 불교 풍습을 가져와 종을 치는 모습을 방송했고, 이런 문화가 일본 전역에 크게 유행 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일제는 일본의 문화를 이식하기 위해 조선에도 제야의 종 의식을 들여왔습니다.
다만 이때는 대중적으로 확산하지 않고, 일부 사찰에서만 행해졌다고 합니다.
◆1950년대부터 시작된 타종행사
한국전쟁이 끝난 1953년부터 우리가 아는 보신각 타종행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서울시는 전쟁의 아픔을 극복하고, 사람들에게 희망과 새해의 다짐을 전하기 위해 보신각에서 종을 울리는 타종식을 열었습니다.
1970년~1980년대에는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불안정으로 인해 타종행사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엄격한 통제 속에서 행사가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타종행사가 연말 대표 행사로 자리 잡으면서 서울의 보신각뿐 아니라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도 비슷한 타종식이 열립니다.
◆제야의 종 33번 치는이유
우리나라에서는 제야의 종을 33번 칩니다.
불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데, 불교에서 33은 아주 중요한 숫자라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도리 천이라는 하늘나라에 33개의 작은 세계가 있다고 하는데, 각각의 세계는 본래 선한기운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하지만 인간의 욕심이나 화, 질투 같은 번뇌로 인해 나쁜 방향으로 바뀔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때 종을 33번 치는 것은 번뇌로 물든 33개의 세계를 다시 선한 방향으로 돌려놓는 과정이라고 합니다.
종을 한 번 울릴 때마다 걱정과 번뇌는 없어지고, 행복과 평화가 되돌아온다고 믿는 것입니다.
"파루"라는 조선시대 의식에서 33번 타종이 유래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새벽 4시경 보신각종을 쳐서 하루의 시작을 알렸는데, 이때 친 종의 회수가 33번이었습니다.
이게 현대에 와서 새해 시작을 알리는 의식으로 변형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신각종, 언제 만들어진 걸까?
1985년까지 제야의 종 타종식에는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종이 사용됐습니다.
1468년 도성 사람들에게 성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려주기 위해 만든 종이었습니다.
다만 오래된 종을 계속 사용하면 훼손될 수 있어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지금 보신각에서 새해에 울리는 종은 1985년에 새로 만든 종입니다.
시작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풍습이었지만, 우리나라만의 방식으로 의미를 부여하면서 이제는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은 제야의 종.
올해도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TV 앞에 모여 종소리로 새해를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올해 마무리 잘하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매물 영상으로 보기
https://www.youtube.com/@a8949.
삼송믿음 부동산
제가 하고 있는 이 일은 지친 하루를 달래 줄 편안한 안식처를 마련하기 위해 도와주는 일 입니다. 제가 하고 있는 이 일은 사랑하는 가족들이 화목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 입니다. 제
www.youtube.com
반응형
'▶오늘의 이야기◀ >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정보] 독감 환자 9년 만에 최고치, 무료접종 대상은? 삼송 믿음 부동산 (4) | 2025.01.08 |
---|---|
[일상 정보] "2025년 올해부터 달라지는 10가지 제도" 삼송 믿음 부동산 (1) | 2025.01.07 |
[일상 정보] "2025년 세금납부 미리 체크하기" 삼송 믿음 부동산 (22) | 2025.01.03 |
[일상 정보] "우회전 방향지시등 제대로 알기" 삼송 믿음 부동산 (4) | 2024.12.30 |
[일상정보] "미국의 금리 인하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삼송 믿음 부동산 (4) | 2024.12.29 |